R의 그래픽 디바이스에 대해 배워보자(출처: R내 swirl package)
#
# swirl()내 탐색적 데이터 분석(Exploratory Data Course)를 실행해보자.
#
#
library("swirl")
swirl()
Exploratory Graphs 과정에서 3번 그래픽 디바이스 R(3. Graphics Devices in R)을 선택한다.
탐색적 분석 과정의 세번째 섹션: 그래픽 디바이스 in R(요약)
R 그래픽은 크게 '컴퓨터 스크린 화면' 또는 '파일'로 출력한다.
R 그래픽은 크게 '화면' 또는 '파일'로 출력한다.
-
?Devices # 사용 가능한 디바이스를 확인한다.
-
그래픽은 한번에 하나의 디바이스에만 보낼 수 있다.
-
dev.cur() # 현재 사용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출력한다.
-
dev.set(<숫자>)을 통해 R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세팅할 수 있다. <숫자>는 2 이상의 값을 갖는다.
-
dev.copy 을 통해 디바이스간 그래프를 복사할 수 있다.
예) dev.copy(png, file = "geyserplot.png") -
dev.copy2pdf 을 통해 pdf에 그래프를 저장할 수 있다.
-
dev.off() # 그래프를 파일로 보내고 나서 해당 디바이스는 반드시 끝마쳐야 한다.
1. 스크린에 그래프를 보여줄 때 쓰는 함수들
윈도우는 windows(), 맥은 quartz(), 유닉스/리눅스는 x11() 통해 스크린에 출력한다.
-
plot()
예1) with(faithful, plot(eruptions, waiting)) # plot 함수 예시
예2) title(main = "Old Faithful Geyser data") # 타이틀 제목 추가
- xyplot()
- qplot()
2. 파일에 그래프을 보낼 때 쓰는 함수들
파일의 경우는 그래픽을 PDF, PNG, JPEG, SVG, TIFF 등으로 보낼 수 있다.
-
pdf(file="myplot.pdf") # 그래프를 "myplot.pdf" 파일에 저장한다.
-
벡터 디바이스 #라인, 단색 및 데이터가 많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한다.
- PDF: 직선 및 페이퍼 사용에 적합
- SVG: 애니매이션, 상호작용, 웹 사용에 적합
- win.metafile: 윈도우 전용 메타 포맷임
- postscript(ps): 크기 변환이 자유로운데, 윈도우에는 뷰어가 잘 없다.
-
비트맵 디바이스 #데이터가 많고, 자연스런 장면, 웹에 주로 사용한다.
- PNG(Portable Network Graphics): 직선 및 단색 기반 이미지 사용에 적합. 미손실 압축 기법 적용함. 데이터가 많은데 좋지만, 크기 변환은 잘 안됨.
- JPEG: 사진 또는 자연스런 화면 사용에 적합. 많은 데이터를 다룰 수 있음. 크기 변환은 잘 안됨. 라인 그래프에는 부적합함.
- tiff: 미손실 압축 파일 포맷
- bmp: 윈도우에 내재된 비트맵 포맷